간신히 깃허브 사용법을 배웠더니 용량이슈로 빠꾸먹다..
블로그에 적을 생각은 없었어서 이미지는 없지만
유니티에서 깃허브 사용하다 용량때문에 push 빠꾸먹고 lfs를 찾는 사람이 저만 있는건 아니겠죠?
아무튼 lfs 설정해보아요

보통 깃설정할 때 git bash많이들 사용하시는데 저는 cmd가 편하더라구요
일단 bash는 가독성이랄까 보기에 불편해서..
아무튼 설정해보아요!
git LFS install
사실 복잡하게 생각할 거 없이 해당하는 디렉토리에서 lfs install해주면 됩니다.
git lfs install
git LFS track
lfs에서 추적할 파일을 설정해줍니다.
저는 bundle파일이 문제였어서 "*.bundle"로 설정해줬습니다.
git lfs track "*.bundle"
git LFS는 유료서비스인가.
기본적으로 유료서비스이고 월 1GB의 무료 사용이 가능합니다.
다만 push에서 체크하는게 아닌 pull 할 때 사용량이 측정된다고 하니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나쁘지 않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'UN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ITY] Lerp 오브젝트가 따라다니게 만들기 (0) | 2022.08.23 |
---|---|
[UNITY] FillAmount를 사용하여 체력바(HP/MP) 만들기 (0) | 2022.08.13 |
[UNITY] 애니메이션(animation) 사용하기 (0) | 2022.08.10 |
[UNITY] Instantiate 플레이 중 아이템 생성하기 (0) | 2022.08.01 |
[UNITY] 코루틴(Coroutine) 사용하기 (0) | 2022.05.10 |